타깃마케팅을 기반으로 실시간적으로 고객의 성향을 분석해 고객을 유인할 수 있는 마케팅을 전개해야
MOM 과정 3주차 두번째 강연은 '모바일 타깃 마케팅의 원리와 활용’ 주제로 이장혁교수님(고려대학교)이 진행해주셨습니다.
주요 타깃마케팅의 기법 과 모바일 인터넷에서 타깃마케팅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를 강의해주셨습니다.
먼저 주요 타깃마케팅의 기법들을 소개해 주셨습니다.
Revealed interest 는 사람들이 흥미를 가지는 관심사항을 기반으로 타깃마케팅을 하는 기법 입니다. 사람들이 검색키워드를 입력하여 검색하는 관심사를 트렌드로 분석하여 파악할 수 있는 구글트렌드(Google Trends), 네이버트렌드 를 타깃마케팅에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하였습니다. 검색한다는것 자체가 목적과 의도가 들어나기 때문에 검색패턴을 분석하여 타깃 마케팅에 전략에 활용하는 것입니다. 현대자동차의 경우 소나타 출시에 따른 구글트렌드를 활용하여 검색 과 판매량을 분석한 결과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Collaborative Filtering 은 고객들의 방문 과 구매패턴을 기준으로 고객들에게 제품을 추천해주는 타깃 마케팅 기법입니다.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제품 아이템을 파악하여 비슷한 제품의 아이템을 추천해주는 사용자 기반의 필터링 방법과 제품, 사이즈 등의 아이템을 기반으로 비슷한 관심을 가지는 사용자들에게 제품을 추천해주는 아이템 기반의 필터링을 활용하여 타깃마케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Network Based Targeting 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람들의 관계를 기반으로 활동 및 관심사를 타깃마케팅에 활용하는 것입니다. 페이스북이 그 대표적인 사례로 개인이 ‘좋아요’를 눌러서 관심사를 보였거나 친구의 관심빈도에 따라 광고를 추천해주는 방식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Proximity는 위치를 기반으로 가까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타깃마케팅을 전개하는 기법입니다. 일본의 광고회사인 덴츠가 위치기반의 증강현실을 활용해 각 지역별 쿠폰을 나비채를 활용하여 낚아채듯 재미있게 쿠폰마케팅을 전개한 iButterfly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Look-a-Like 는 관심사 및 위치가 비슷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타깃마케팅을 전개하는 기법입니다. 페이스북이 친구를 추천해주거나 광고를 보여주는 방식에 이러한 기법을 많이 활용하고 있습니다.
Retargeting은 고객이 특정한 사이트에 관심을 가지고 방문한 기록을 기반으로 타 사이트 이동시 이를 기반으로 방문한 사이트의 광고를 노출시켜 타겟팅하는 기법입니다. 최근 소셜, 모바일 광고에 이러한 리타겟팅 기법을 많이 활용하고 있습니다.
Adaptive Targeting 고객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샘플타겟팅을 전개하여 그들의 반응을 분석하여 타겟그룹 및 오퍼를 설정하여 진행하는 타깃마케팅 기법입니다.
타겟팅의 기본은 관심사, 위치, 관계, 구매정보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관심사와 위치는 활동을 감지 평가하며, 관계와 구매기록은 고객의 성향(구매력, 기회비용, 가격민감성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에서 개인의 식별은 휴대폰의 일련번호 및 고유식별 번호를 추출하여 타깃마케팅을 전개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마케팅에서 타깃마케팅은 이러한 기본적인 타깃마케팅을 기반으로 실시간적으로 고객의 성향을 분석해 고객을 유인할 수 있는 마케팅을 전개해야 합니다.